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4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말 안 하는 경우 / 학교 생활이 궁금한 경우 / 초등학생 교실 생활 학부모 상담을 하다 보면 아이의 학교생활에 대해 유독 궁금해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수업 태도는 어떤가요?""요즘은 누구랑 친하게 지내고 주로 뭘 하면서 노나요?""친구들이 따돌리는 일은 없을까요?" 대답을 해드리고 대화를 더 해보면 왜 유독 궁금해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아이가 학교에서 있었던 일들을 집에서 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학교에서는 친구들과 수다스러울 정도로 이야기를 잘하고 말장난도 제법하고 수업 시간에 발표도 잘한다고 하면 오히려 놀랍니다. 하지만 집에서는 학교에서 있었던 일들을 거의 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학교생활이 궁금한 부모 입장에서는 답답할 따름입니다.   오늘 어땠어? 그냥요.오늘 뭐 배웠니? 이것저것이요.친구랑 뭐 하고 놀았어? 몰라요.  위의 대화를 읽어보기만 해도 아주.. 2023. 9. 6.
발명 대회 단계별 준비하기 (1) - 발명 대회 단계 알기 여러 발명 대회 중에 학교에서 예선을 거쳐 참여하는 발명 대회는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주최하는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입니다.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이 대회는 각 단계를 통과할 때마다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많아집니다. 하지만 이 과정을 거치며 작품요약서, 학생탐구일지 등을 작성하며 논문 형식의 보고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발명에 관심이 많다면 꼭 도전해 보기를 추천합니다. 이 대회를 경험해 본다면 '전국과학전람회' (구. 학생탐구발표대회) 도 충분히 도전해 볼 수 있는 역량이 생깁니다. 단, 학교에서 배부하는 가정통신문을 보고 난 뒤에야 '그냥 한 번 해볼까?'라는 생각으로 참여하거나 가정에서 부모님이 낸 아이디어로 참여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정에서 도움을 주는 것은 좋지만 .. 2023. 8. 31.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아이 / 초등학생 갑자기 학교에 가기 싫어할 때 어느 날 아이가 "학교에 가기 싫어!"라고 말한다면 부모는 여러 가지 걱정을 하게 됩니다. 부모에게 저런 말을 하기까지 이전에 이미 마음속으로 여러 번 학교에 가기 싫다는 생각을 했을 겁니다. 학교에는 꼭 가야 한다는 사실을 알다 보니 가기 싫다는 말을 쉽게 할 수 없기 때문이죠.  "학교에 가기 싫어!"라는 말은 아이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 적신호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원인을 파악해서 해결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초등학교를 다니는 아이를 둘러싼 관계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학교에 가기 싫을 때는 이 세 가지 중에 어느 한 부분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선생님친구학습과 관련된 사항들(수업, 학습 내용, 학습 활동, 학습 환경)   선생님선생님과 학생의 관계가 좋지 않은 경우는 선생님께 반복해서 지적을 .. 2023. 8. 11.
생각이 쑥쑥 글쓰기 (17) │ 이해할 수 없는 행동 아무리 친한 친구라도 모든 것을 다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내 생각에 이해하지 못할 행동이나 말들이 있다면 적어봅시다. 2023. 6. 16.
싱킹 맵, 씽킹 맵, Thinking map 활용하여 노트 정리 / 초등 노트 정리 뇌가 좋아하는 학습방법 중에 '패턴화'라는 것이 있어요. '패턴화'란 일정한 형태나 양식, 틀을 말해요. 기억을 잘 저장하기 위해서는 학습한 내용을 패턴화해야 하는데, 내용을 한 덩어리, 그룹으로 범위를 나눠 카테고리를 만들어 정리하면 이해하기 쉽고 기억하기도 쉬워요. 씽킹 맵(Thinking maps)이 바로 패턴화 하여 기억하기 좋은 틀을 알려줘요.  Thinking maps 씽킹 맵은 미국의 하이엘(Hyerele)이 만든 것으로, 미국에서 글쓰기 과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8가지 유형의 맵입니다. 학습자의 사고와 학습을 돕기 위해 맵을 이용 해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에요. 내용을 시각적 틀로 표현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사고도 기를 수 있고 학습 내용의 이해나 암기에도 도움을 줘요.  마인드 .. 2023. 6. 13.
생각이 쑥쑥 글쓰기 (16) │ 봄 이제 6월이 되면서 날이 더워지고 있습니다. 어느덧 여름이 성큼 다가오는 중입니다. 이번 봄은 어떻게 보냈나요? 3월 개학하며 맞이했던 봄이 지나가고 있는 이때, 지나간 봄에 대한 느낌을 적어보세요. 2023. 6. 2.
창의성을 키우는 방법 / 창의력 키우는 법 / 어떻게 창의력을 키울까 “창조라는 것은 그냥 여러 가지 요소를 하나로 연결하는 것입니다. 창조적인 사람에게 어떻게 그렇게 창의적으로 일할 수 있느냐고 물으면 대답을 하지 못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실제로 무엇을 한 것이 아니라 단지 뭔가를 본 것이기 때문입니다. 창의력은 그들이 경험했던 것을 새로운 것으로 연결할 수 있을 때 생겨나는 것입니다. 그러한 경험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경험을 하고, 그들의 경험에 대해서 더 많이 생각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창의성을 상징하는 인물 중 한 명인 스티브 잡스가 1996년 와이어드(Weird) 지 인터뷰에서 했던 말입니다. 이 글에 창의성의 정의가 잘 나와 있습니다.  미국에서 2002년 21세기 기술을 위한 파트너십이라는 특별 위원회(애플, MS, 인텔 등 여러 .. 2023. 6. 1.
생각이 쑥쑥 글쓰기 (15) │ 나의 성격은 누군가의 성격을 아는데 몇 가지 도움이 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살펴보면 됩니다.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에서 성격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방이 사용하는 말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평소에 자주 하는 말들, 어떤 일에 대한 의견들을 들어보면 됩니다. 성격은 복잡하기 때문에 쉽게 파악하기 힘들지만 행동이나 말을 관찰해 본다면 어느 정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은 나의 성격을 내가 생각해 보고 쓰는 것입니다. 2023.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