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4

부모 노릇, 자식 노릇 / 자녀 양육 방식, 부모 유형 공자의 '논어' 안연편에 나오는 군군신신부부자자 ​(君君臣臣父父子子) 라는 말은 중국 제나라 왕 경공이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묻자 공자가 대답한 말입니다. 그 뜻은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며 부모는 부모답게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는 말입니다. 임금이나 신하는 그냥 넘어가겠지만 부모와 자식에 대해서는 한 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 어릴 때는 자식 다운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만 생각해 봤다면 나이가 들면서는 부모다운 것은 무엇인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자식 다운 것에는 어느 정도 답이 보이는 것 같은데 부모 다운 것에 대해서는 쉽게 답을 떠올리기 힘듭니다. 과연 부모 다운 것은 무엇일까요? 미국의 임상 심리학자 바움린드는 부모의 4가지 양육 방식을 허용형, 권위형, 독재형, 방임형으로 나눕.. 2023. 3. 22.
PMI 기법 - 발명 아이디어 평가하기, 아이디어 평가법, PMI 학습지 양식 여러 가지 발명 기법을 이용하여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나서 아이디어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는 아이디어가 하나밖에 없을 경우 과연 괜찮은지 생각해 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PMI 기법은 아이디어를 정리,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로 에드워드 드 보노(Edward de bono)가 개발한 '인지사고 프로그램' 속의 사고기법으로 어떤 아이디어에 대해 생각해 보는 방법입니다. Plus 긍정적인 점, 좋은 점, 장점 Minus 부정적인 점, 나쁜 점, 단점 Interesting 흥미로운 점 이렇게 3가지를 생각해 보고 아이디어를 수정하거나 추가하면 됩니다. 주의할 점은 긍정적인 점을 찾을 때는 긍정적인 점만, 부정적인 점을 찾을 때는 부정적인 점에만, 흥미로운 점을 찾을 때는 흥미로운 점에만 집중합니다. 그리고 각 단.. 2023. 3. 17.
생각이 쑥쑥 글쓰기 (12) │ 새로운 교과서! 교과서는 꼭 배워야 하는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끔 또는 자주 이 교과서가 재미없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걸 왜 배워야 하지?' '왜 이렇게 재미없는 거야.' '아 어렵다.' 이런 생각을 할 때가 있습니다. 만약 내가 교과서를 만든다면 어떤 교과서를 만들고 싶나요? 꼭 무엇인가 공부해야 하는 교과서가 아니라 우리에게 필요한 교과서를 떠올려보고 교과서를 만들어봅시다. 선생님은 교실에서 함께 노는 친구들을 보면 '친구와 즐겁게 노는 법'이라는 교과서를 만들어서 주고 싶습니다. 2023. 3. 17.
강제 결합법 - 아이디어 떠올리기 강제 결합법은 겉으로 보기에는 전혀 상관없는 두 개 이상의 아이디어나 사물을 강제로 연관시켜 아이디어를 찾아내는 방법입니다. 사물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고 관계가 없는 두 사물 사이에 독특한 관계를 만들어 내면서 창의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꼭 그럴듯한 아이디어를 만드려고 고민하지 말고 두 개의 단어로 떠올릴 수 있는 아이디어를 빨리 떠올리고 그다음 단어로 아이디어를 떠올리면 좋습니다. 하나의 그럴듯한 아이디어를 내려고 하기보다는 많은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면서 그중에 좋은 아이디어를 찾는 것이 목적입니다. 수박 + 시계 평소에는 이 두 단어의 공통점을 전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같이 생각하기 힘듭니다. 하지만 강제 결합법에서는 이 두 단어를 강제로 결합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욕조와 .. 2023. 3. 13.
새 학기에는 이렇게 해보세요! 새 학기 준비, 새 학기 해보면 좋은 것, 초등 새 학기 봄이 시작되는 3월은 학교가 바빠지는 시기입니다. 입학식부터 시작해서 모든 학교들이 첫 학기를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새롭게 만나는 학생들의 모습을 보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느라 긴장하기도 하고 열심히 하려고 노력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그래서 뭐든 처음 시작하기에는 3월이 제일 좋은 것 같습니다. 2학기가 시작될 때 교실에서 뭔가 새로운 것을 시도해보려고 하면 잘 안 되는 이유도 학생들의 마음 가짐에 있는 것 같습니다. 새 학기의 시작 3월, 가정에서는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까요? 준비물 잘 챙기기 새 학기에는 학교에서 안내하는 가정통신문, 학급에서 안내하는 다양한 준비물들이 많습니다. 다른 때보다 특히 신경 써서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준비물이 가져오지 않거나, 유인물을 제출하지 않거나, 숙제를 해.. 2023. 3. 10.
생각이 쑥쑥 글쓰기 (11) │ 냉동인간 미래는 어떻게 변해있을까요? 미래가 너무 궁금하지만 인간은 수명이 정해져 있어 미래에 살아볼 수는 없습니다. 타임머신을 타고 가지 않는다면 어떤 방법으로 미래를 살아 볼 수 있을까요? 지금으로서는 냉동인간이 가장 현실성 있어 보입니다. 냉동인간은 사람을 냉동 상태로 만들어 두고 나중에 깨우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냉동인간 기술을 연구하는 과학자들과 회사도 있다고 합니다. 계속 연구한다면 냉동인간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아래 기사를 읽어보고 생각이 쑥쑥 글쓰기를 적어봅시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83%89%EB%8F%99%EC%9D%B8%EA%B0%84-%EC%84%B1%EA%B3%B5-%EA%B0%80%EB%8A%A5%EC%84%B1%EC.. 2023. 3. 10.
일기 쓰는 방법, 일기 이렇게 써보세요! 생생한 일기 쓰는 법 곧 새 학기가 시작됩니다. 요즘은 학생들에게 숙제를 많이 내주지 않는 편이지만 그래도 가장 싫어하는 숙제가 있다면 바로 '일기 쓰기'입니다. 왜 '일기 쓰기'를 싫어할까요? 일기 쓰는 방법을 제대로 배운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1학년 때 쓴 일기나 4학년 때 쓴 일기가 별 차이가 없습니다. (일기 예시)가족과 강원도에 있는 캠핑장으로 캠핑을 갔다. 도착해서 아빠가 고기를 구워주셨다. 맛있었다. 다음 날 물놀이를 하는데 너무 재미있었다. 물속에 물고기들도 봤다. 돌아오는 길에 차에서 잤다. 집에 오니 밤이었다. 씻고 정리하고 숙제를 하고 잤다. 가족과 캠핑을 가서 좋았다. 또 가고 싶다.  많은 학생들이 이런 식으로 일기를 씁니다. 일단 했던 일들을 쭉 나열하고 생각이나 느낌은 대부분 맛있다, 좋았.. 2023. 2. 22.
생각이 쑥쑥 글쓰기 (10) │ 요술 램프 알라딘은 만화, 영화로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선생님뿐만 아니라 부모님도 어렸을 때 재미있게 보셨을 테고 우리 친구들도 재미있게 봤을 거예요. 알라딘에는 요술 램프에서 소원을 들어주는 지니가 나옵니다. 주인공인 알라딘이 소원을 비는 장면이 특히 재미있습니다. 이 장면을 보면 누구나 '아! 나도 저런 요술 램프가 있으면 좋을 텐데...'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친구들은 만약 저런 램프가 있다면 어떤 소원을 빌고 싶나요? 어떤 소원이든 좋습니다. 지금 빌고 싶은 소원이 있다면 글로 써보세요. 단, 그 소원을 왜 빌고 싶은지 이유도 함께 적어주세요. 그럼 마음에 귀를 기울여볼까요? 2023.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