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y2Learn/글쓰기, 독서

일기 쓰는 방법, 일기 이렇게 써보세요! 생생한 일기 쓰는 법

by 옆반선생님 2023. 2. 22.

 

 

곧 새 학기가 시작됩니다. 요즘은 학생들에게 숙제를 많이 내주지 않는 편이지만 그래도 가장 싫어하는 숙제가 있다면 바로 '일기 쓰기'입니다. 왜 '일기 쓰기'를 싫어할까요? 일기 쓰는 방법을 제대로 배운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1학년 때 쓴 일기나 4학년 때 쓴 일기가 별 차이가 없습니다.

 

(일기 예시)

가족과 강원도에 있는 캠핑장으로 캠핑을 갔다. 도착해서 아빠가 고기를 구워주셨다. 맛있었다. 다음 날 물놀이를 하는데 너무 재미있었다. 물속에 물고기들도 봤다.

돌아오는 길에 차에서 잤다. 집에 오니 밤이었다. 씻고 정리하고 숙제를 하고 잤다. 가족과 캠핑을 가서 좋았다. 또 가고 싶다.

 

많은 학생들이 이런 식으로 일기를 씁니다. 일단 했던 일들을 쭉 나열하고 생각이나 느낌은 대부분 맛있다, 좋았다, 재미있었다와 같은 단순한 표현을 많이 씁니다. 표현을 재미있게 하거나 느낌을 자세하게 쓰려면 생각을 해야 합니다. 그런 생각의 과정이 귀찮기도 하고 생각하기 싫기 때문에 대충 나열하는 방법으로만 일기를 씁니다.

그럼 어떻게 쓰면 좋을까요? 많은 종류의 일기 중에 생활 일기를 쓰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준비하기 - 마인드맵으로 정리하기 

경험을 이야기로 바꾸어 생각과 느낌을 글로 쓰는 건 어른도 어려운 일입니다. 이때 필요한 것은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법인데 마인드맵이 해결해 줍니다. 경험을 상황과 연결시키면 이야기로 쉽게 쓸 수 있습니다. 상황은 장소, 시간, 사람, 그때의 느낌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육하원칙 (언제, 어디로, 누구와, 왜, 무엇을, 어떻게)에 해당되는 것이 있으면 적고, 본 것, 한 일을 적습니다.

그리고 본 것한 일에 해당되는 것을 조금 더 자세하게 적고 그와 관련된 느낌이나 떠오르는 것을 옆에 적어둡니다. 이렇게 마인드맵으로 정리하면 글을 쉽게 쓸 수 있습니다.

예전에 일기 쓰기 어려워하는 친구들에게 아래 마인드맵을 나눠준 적이 있었는데 마인드맵을 활용하니 일기 쓰기가 쉽다고 했습니다. 아래의 마인드맵보다 위에 예시의 마인드맵이 훨씬 작성하기 쉽습니다. 일기를 쓰기 전에 먼저 마인드맵을 이용해 내용을 정리해 보세요.

 

 

 

일기 쓰기 1 - 있었던 일들을 순서에 따라 적기

이제 일기를 쓰기 시작하면 됩니다. 마인드맵을 보고 있었던 일들을 떠올리며 순서대로 적습니다.

사건과 관찰한 것은 일어난 순서대로, 육하원칙에 맞게 씁니다. 꼭 여섯 가지가 모두 들어가야 하는 건 아니지만 해당되는 내용이 있다면 모두 적어주면 좋습니다.

육하원칙을 쓰면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어서 글이 생동감 있습니다. 일기에는 생각이나 느낌도 중요하지만 그 느낌의 바탕이 되는 사실을 얼마나 생생하게 적었는지도 중요합니다.

(예시)

엄마가 맛있는 음식을 해주셨다. → 어제 점심, 집에서 엄마가 갈비찜을 맛있게 요리해 주셨다.

 

 

일기 쓰기 2 - 생각, 감정, 느낌 적기

생각, 감정, 느낌은 상황(시간, 장소, 사람, 그때의 느낌)과 연관이 있습니다. 상황을 함께 적어주세요. 그리고 이유를 함께 적어주면 됩니다. 글을 쓰면서 왜?라고 생각하면 이유를 적기 쉽습니다.

(예시)

엄마가 혼내서 기분이 나빴다. →

왜? → 내가 TV를 너무 오래 봐서 엄마한테 혼났다. 아주 재미있는 장면에서 TV를 껐기 때문에 기분이 우울했다.

                       (상황)                                                                            (이유) 

 

 

 

느낌을 적을 때는 그것과 비슷한 것들을 떠올리면 됩니다.

 

(예시)

솜사탕이 맛있었다 → 이불처럼 푹신푹신한 솜사탕은 맛있었다.

 

 

 

일기 쓰기 3 - 인상적인 부분 적기

일어난 일들을 쭉 적은 다음에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만 따로 적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캠핑에 가서 재미있는 일들을 했는데 그중에 물놀이가 제일 좋았다면 그 부분만 따로 좀 더 자세하게 적으면 됩니다.

인상적인 부분을 생생하게 나타내는 방법은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를 사용하면 됩니다.

큰따옴표 : 한 말과 들은 말 

"아빠 우리가 캠핑 가는 장소에는 뭐가 있어요?"

"응 거기 가면 양 떼 목장이 있단다."

작은따옴표 : 자신이 속으로 한 말과 생각

'와 양 떼 목장에 가면 양을 볼 수 있겠구나. 양은 사진이나 영상으로만 봤는데 너무 기대된다.'

 


출처 freepik

 

이런 방법으로 일기 쓰기를 연습해 본다면 일기를 좀 더 쉽게 쓸 수 있습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마인드맵을 먼저 쓰는 것입니다. 꼭 일기를 쓰지 않더라도 있었던 일이나 어떤 사건으로 마인드맵만 작성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나중에 다른 종류의 글을 쓸 때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자 그럼 이제 새 학기에는 일기 쓰는 걸 싫어하지 말고 재미있게 써보도록 해요. 일기를 쉽게, 잘 쓰게 되면 국어 교과서에 나오는 다양한 글쓰기들도 잘할 수 있습니다.

 

http://www.gcilbo.kr/news/articleView.html?idxno=15724 

 

즐거운 글쓰기(5) - 육하원칙을 활용하라 - 김천일보 김천iTV

글쓰기에 필요한 재료를 소재라고 한다. 소재가 풍성하면 글쓰기가 보다 수월하다. 중요한 것은 공통분모가 될 수 있는 소재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

www.gcilbo.kr

 

 

어른 일기 쓰는 방법은 아래글을 참고해 보세요. 

 

https://edu-4all.tistory.com/75

 

어른 일기 쓰기 (1) │ 쓰자! 그럼 이루어지리라.

미국 100달러 지폐 속의 인물인 벤저민 프랭클린은 미국에서 가장 존경하는 인물로 높은 순위에 꼽힌다. 프랭클린의 자서전을 보면 본능을 따르는 충동적인 삶을 살지 않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

edu-4all.tistory.com

 

https://edu-4all.tistory.com/78

 

어른 일기 쓰기 (2) │어른이의 일기 쓰는 방법

소설도 유명하지만 글쓰기 책인 로도 잘 알려진 소설가 이태준은 ‘일기는 사람의 훌륭한 인생 자습서다’라고 말했다. 보통 일기라고 하면 초등학교 시절을 가장 많이 떠올린다. 무엇을 했는

edu-4all.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