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y2Learn/창의성, 발명

창의성을 키우는 방법 / 창의력 키우는 법 / 어떻게 창의력을 키울까

by 옆반선생님 2023. 6. 1.

 “창조라는 것은 그냥 여러 가지 요소를 하나로 연결하는 것입니다. 창조적인 사람에게 어떻게 그렇게 창의적으로 일할 수 있느냐고 물으면 대답을 하지 못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실제로 무엇을 한 것이 아니라 단지 뭔가를 본 것이기 때문입니다. 창의력은 그들이 경험했던 것을 새로운 것으로 연결할 수 있을 때 생겨나는 것입니다. 그러한 경험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경험을 하고, 그들의 경험에 대해서 더 많이 생각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창의성을 상징하는 인물 중 한 명인 스티브 잡스가 1996년 와이어드(Weird) 지 인터뷰에서 했던 말입니다. 이 글에 창의성의 정의가 잘 나와 있습니다. 

 

미국에서 2002년 21세기 기술을 위한 파트너십이라는 특별 위원회(애플, MS, 인텔 등 여러 대기업과 교육 기관, 미국 교육위원회가 참여)가 미래 역량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하였습니다. 21세기 학습자가 가져야 할 역량 중 미래 핵심 역량 4C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eativity)를 중요하게 강조하였습니다.

 

2023년 세계 혁신대학 랭킹에서 1위를 차지한 미네르바 대학은 2014년 설립된 학교로 전 세계 수많은 학생들의 관심을 끌었는데 건물도 없고 7개 국가를 매 학기 옮겨 다니며 수업을 하고 기숙사 생활을 합니다. 모든 수업은 온라인 실시간 수업으로 진행하고 학기 중에 그 도시에서 기업들과 과제를 수행하는 데 이는 복합적 문제해결력을 키워주기 위해서입니다. 이 학교의 학습 목표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설정했는데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효과적인 상호작용입니다.

http://www.minerva.edu/

 

 

2008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조사한 국내 상위 100대 기업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100대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실태조사'에 따르면 인재상의 핵심 요건으로 71%가 창의성(1위)을 꼽았습니다. 십여 년이 지난 2021년에 잡코리아에서 상위 50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창의성(5위)이 들어가 있습니다.

출처 잡코리아

 

이렇듯 많은 곳에서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창의성은 밑도 끝도 없어 보입니다. 시험 점수처럼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내가 창의성을 정말 갖고 있는 것인지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애매모호한 창의성을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창의적인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

 

 

심리학자인 길포드(Guilford)는 확산적 사고를 창의성의 기본이 되는 사고 유형으로 보았습니다. 확산적 사고란 문제에 대해 하나의 정답을 대신 다양하고 많은 아이디어를 찾아내는 사고를 말합니다.

이런 확산적 사고를 바탕으로 창의성의 구성 요소에는 민감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등이 있다고 말하였습니다.

 

 

 

  • 유창성 -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능력
  • 융통성 - 어떤 문제를 다양한 각도로 접근해서 아이디어를 응용시키는 것
  • 독창성 - 새롭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
  • 정교성 - 선택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해서 다듬는 능력

 

 

 

위의 창의성 구성 요소를 키울 수 있는 방법으로 대표적인 것이 바로 글쓰기발명입니다.

글쓰기와 발명은 언뜻 상관이 없어 보이지만 비슷한 점이 많으며 창의력을 키우는데 좋은 도구입니다.

 

 

출처 freepik

 

글을 쓰려면 주제를 정해야 하고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아이디어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아이디어를 찾는 과정에서 확산적 사고를 사용합니다. 무엇을 연결해서 글을 쓸지 생각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연결하게 됩니다.

그다음 연결된 아이디어를 조합해 글을 쓰게 되고 글을 쓰는 과정에서도 끊임없이 생각을 합니다. 다 쓴 글을 다시 읽어보며 수정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아이디어를 다듬게 됩니다.

 

글쓰기 지도의 대표적인 방법인 '과정 중심 글쓰기' 역시 아이디어를 만들고 다듬고 쓰고 수정하는 단계를 갖고 있습니다. 글쓰기를 문제 해결이라고 생각하고 각 과정에서 학생들이 문제를 접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가는데 초점을 둡니다.

 

아이디어 생성하기 → 아이디어 조직하기 → 표현하기 → 고쳐쓰기

 

 

출처 freepik

 

발명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존의 문제점, 불편한 점을 찾아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수정해서 발명품을 만들어냅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찾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점을 바라봐야 합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고 수정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창의적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많은 발명품들이 이런 창의적인 과정을 거쳐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아 우리 생활을 변화시켰습니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창의성을 '무언가 창조하기 위해 상상력이나 독창성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하며 동의어로 '발명성'을 말합니다. 스티브 잡스, 정약용, 레오나르도 다빈치 등 역사적으로 창의성이 뛰어난 인물들 모두 기존에 없던 무엇인가를 만들어낸 사람들입니다.

 

 

https://edu-4all.tistory.com/18

 

발명이란?

발명이란? 과학적 창의와 기술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새로운 방법, 기술, 물질, 기구 등에 대한 창조 라고 네이버 두산백과사전에 나옵니다. 또 다른 정의로는 이 세상에 없던 것을 새로 만들어

edu-4all.tistory.com

 

 

창의성은 타고나는 것이거나 영재가 가진 능력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영재의 능력을 가졌어도 문제 해결을 해본 적이 없으면 창의성을 발휘하기 힘듭니다. 문제 해결을 통해 길러지는 창의성은 다양한 문제 해결 상황을 만날 수 있는 글쓰기와 발명을 통해 충분히 기를 수 있습니다.

글쓰기와 발명, 둘 중 하나라도 시작해 보기 바랍니다. 꾸준한 연습을 한다면 분명 창의적인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창의성이 키워진다면 나중에 학교에서 배우는 학습 내용들에 대해 호기심도 갖게 되고 그런 호기심을 해결하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수학 문제도 다양한 방법으로 풀어볼 수 있는 힘도 길러집니다. 이렇게 창의성을 갖게 되면 다른 영역에서도 많은 효과를 발휘하게 됩니다. 

 

창의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 용기를 내서 글쓰기나 발명을 시작해 보면 어떨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