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상담6 부모가 돈으로 해줄 수 없는 것 교실에서 주제를 주고 글을 쓰게 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학생들은 다양한 주제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글을 쓴다. 학기 초에는 주로 자기 자신에 대한 주제를 자주 다룬다. 학년을 새로 시작하면서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되돌아보게 하고 ‘새 출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많이 나오는 내용이 바로 친구 관계에 대한 것이다. 새로운 학년이 되었으니 많은 친구를 사귀고 싶다거나, 새로운 친구들에게 어떻게 해야겠다는 결심 그리고 친구를 만드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와 같은 내용들이 주를 이룬다. 초등학교는 아이들이 독립적인 인간관계를 맺는 첫 관문이다. 6년의 긴 시간 동안 1년 동안 친하게 지냈던 친구들과 헤어지고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는 환경에 놓이게 된다. 그런 환경에 적응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2025. 4. 13. 거짓말한 아이를 대하는 태도 │거짓말하는 아이 어릴 적 어른들께 거짓말을 하면서 언제 들킬지 모르는 조마조마했던 마음이 생각난다. 지금 내 앞에도 그런 조마조마한 마음을 가진 아이가 서있다. 눈을 이리저리 옮기면서 나를 똑바로 쳐다보지 못하며 안절부절못한다. 내가 묻는 말에 대한 자신감 없는 대답은 ‘저 지금 거짓말하고 있어요’라고 고백하고 있는데 아이는 사실이라고 그럴싸하게 포장하고 있다. 교실에 있다 보면 가끔씩 거짓말을 자주 하는 아이들을 볼 수 있다. 사소한 것부터 시작해서 친구의 물건의 가져가고 아니라고 말하는 대범한 거짓말까지 한다. 거짓말하는 아이는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까? 아이들을 가르치는 나도 거짓말쟁이다. 선생님이라는 직업이 나를 그렇게 만들었다. 화가 나지만 아닌 척하고, 사실은 아이의 행동이 이해가 안 되지만 이해한다고 말하는.. 2025. 1. 22. 아이의 성격을 바꿀 수 있을까? │기질과 성격 많은 학부모와 상담을 하면서 느낀 점은 아이에게 완전히 만족하는 학부모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 아무리 공부를 잘하고, 어른들 말씀을 잘 듣고, 친구들과 잘 지내더라도 무엇인가에는 불만족스러워한다. 가만 이야기를 듣다 보면 아이가 엄친아 수준이 아니라 슈퍼 엄친아가 되어야 만족할 것만 같다. 교실을 둘러보면 각자의 장점을 가진 아이들이 많지만, 그 높은 기준을 모두 충족시킬 만한 아이는 보이지 않는다. 뭐가 문제일까? 일단 부모의 기준이 너무 높다. 자신도 그렇기 때문에 아이도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부모가 있는가 하면 자신은 그렇지 못했기 때문에 아이가 달랐으면 좋다고 말하는 부모도 있다. 양쪽 모두 무리한 기준을 정하고 있는 것이다. ‘저도 수줍음을 많이 타는 성격이라 아이가 저를 닮았나 봐요. 그.. 2024. 6. 15. 학습에서 부모의 역할 │자기주도학습의 시작 얼마 전 한 학부모로부터 아이가 집에서 학교 과제를 잘 안 하려고 해서 힘들다는 고민을 들었다. 과제를 자꾸 미루고, 하라고 이야기하면 짜증을 내기도 하고, 알아서 한다고 말하면서 당최 하지 않으려고 한다는 것이다. 왜 그런지 궁금해서 아이의 하루 일과를 물어봤다. 주 2회 수학 학원을 가고 학습지 선생님이 가정을 방문해서 공부하는 상황이었다. 특별히 바빠서 과제할 시간이 없는 건 아니었다. 간신히 학원 과제만 하고 그 외 시간에는 책을 읽기도 하지만 주로 놀거나 게임을 한다고 했다. 그러다 보니 놀이나 게임에 빠져 학교 과제를 하기 싫어하게 된 것이다. 위의 학생 뿐만 아니라 대부분 아이들이 매일 학원을 가다 보니 학교에 다녀와서 당일 학원 과제를 하거나, 다음 날 학원 과제를 하고 나면 할 일을 다 .. 2024. 6. 9. 부모 노릇, 자식 노릇 / 자녀 양육 방식, 부모 유형 공자의 '논어' 안연편에 나오는 군군신신부부자자 (君君臣臣父父子子) 라는 말은 중국 제나라 왕 경공이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묻자 공자가 대답한 말입니다. 그 뜻은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며 부모는 부모답게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는 말입니다. 임금이나 신하는 그냥 넘어가겠지만 부모와 자식에 대해서는 한 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 어릴 때는 자식 다운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만 생각해 봤다면 나이가 들면서는 부모다운 것은 무엇인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자식 다운 것에는 어느 정도 답이 보이는 것 같은데 부모 다운 것에 대해서는 쉽게 답을 떠올리기 힘듭니다. 과연 부모 다운 것은 무엇일까요? 미국의 임상 심리학자 바움린드는 부모의 4가지 양육 방식을 허용형, 권위형, 독재형, 방임형으로 나눕.. 2023. 3. 22. 학부모 상담 주간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까? 초등학교는 1학기, 2학기에 상담주간을 갖습니다. 시기는 학교별로 다르며 방법은 전화 상담 또는 대면 상담을 하게 됩니다. 두 방법 모두 장단점은 있으나 아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상담 주간의 목적은 결국 아이에 대한 정보를 듣고, 아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으니까요. 요즘은 부모의 직업이나 가정환경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아이의 행동에 대해 선생님이 오해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특히 아이에 대한 어떤 정보를 선생님이 알아야 하는 경우 꼭 상담을 하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해보면 크게 3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첫째, 학부모가 일방적으로 이야기하고 선생님은 듣기만 하는 경우 둘째, 학부모는 아무 말이 없이 선생님이 무엇인가 이야기해주기만을.. 2022. 10.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