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녀 교육 이야기

집중 못하는 우리 아이, 집중력 이렇게 키워주세요!

by 옆반선생님 2023. 1. 27.

 

이제 곧 3월이 되면 새 학기가 시작됩니다. 아이들도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부담감으로 마음에 무거운 짐을 갖는 시기입니다. 학기 초 너무 긴장해서 학교 가기 싫어하거나 식사를 제대로 못하는 학생들도 종종 있습니다. 그에 못지않게 부모님들 역시 걱정이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입니다. 선생님은 어떨지, 새로운 친구들은 잘 사귀고 있는지, 수업 태도는 어떨지 등등 많은 걱정이 머리를 스쳐 지나갑니다.

 

출처 freepik

 

4월 즈음 상담을 해보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이 바로 친구 관계와 수업 태도입니다. 친구 관계에 대해서는 비교적 솔직하게 말하고 조언을 드리지만 수업 태도에 대해서는 있는 그대로 말하기 힘들때가 있습니다. "수업 시간에 계속 다른 행동을 하며 집중하지 못합니다."라고 말했을 경우 부모님이 받을 상처나 집에서 꾸중을 들을 아이의 입장을 생각하면 솔직하게 말하기 힘듭니다.

 

보통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ADHD 와 관련지어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DHD는 소수의 경우이고 살펴보면 티가 납니다. 이 때는 병원으로 가서 상담을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 수업에 방해가 되면 선생님이나 다른 친구들에게 안 좋은 인식을 주고 자꾸 혼이 나고 지적당하다 보면 자존감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ADHD와 달리 일반적이지만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몇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10분 이상 가만히 있지 못하는 경우
  • 멍때리면서 지금 뭘 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
  • 조용히 앉아 있지만 머릿속으로 다른 생각을 하는 경우
  • 계속 무엇인가 만지면서 다른 행동을 하는 경우
  • 수업 시간마다 화장실에 가는 경우
  • 모둠 활동을 하면 쉬거나 노는 시간으로 아는 경우

 

이런 행동을 하는 아이들을 살펴보면 일정 시간 이야기를 듣거나 책을 읽기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원인으로는 디지털 기기나 유튜브에 익숙한 세대의 아이들이기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유튜브도 오랜 시간 시청해야 하는 영상들보다는 점점 쇼츠 영상들이 인기가 많습니다. 10분~15분의 영상도 길다고 느끼면서 집중해서 보기 힘들어하기 때문입니다.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2121501755 

 

재밌고 자극적인 '숏폼' 시청, '팝콘 브레인' 만든다

--> 2021.3.19--> --> <!-- --> 재밌고 자극적인 '숏폼' 시청, '팝콘 브레인' 만든다 강수연 기자 2022/12/15 17:00 중독 되다 보면 느리고 약한 자극에는 반응 안 하는 뇌로 바뀌어 문해력 저하의 주요 원인…

m.health.chosun.com

디지털 기기나 미디어의 영향도 어느 정도 있겠지만 또 다른 이유로는 집중하는 훈련이 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그렇다고 집중하는 방법을 학원에 가서 배울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아래 방법을 아이들과 함께 활용해 보세요.

 

출처 freepik

 

 

시간을 정해 함께 책 읽기

아이에게 책을 읽으라고 한 뒤에 놔두는 것이 아니라 함께 책을 읽으면 좋습니다. 처음에는 아이가 읽고 있는 책을 옆에서 같이 읽고, 읽으면서 글에 나오는 내용으로 대화를 나누고 질문을 주고받습니다. 그럼 부모의 이야기도 들으며 자신의 생각도 말하는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이 활동이 익숙해지면 함께 앉아 각자 책을 읽고 책의 내용을 서로 말하면서 묻고 답하기를 해보세요.

 

 

숙제 함께 하기

아이가 숙제를 하는 동안 부모가 옆에서 함께 책을 읽거나 다른 일을 합니다. 숙제하는 것을 감시한다는 느낌을 주는 것이 아니라 도서관 같은 곳에서 함께 공부한다는 느낌을 줘야 합니다. 교실에서도 옆이나 뒤에 앉은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기 때문에 그런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출처 freepik

 

집중력을 키워주기 위해 타이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바로 타이머를 주고 정해진 시간 동안 할 일을 하도록 하는 것보다 위에 나온 방법을 활용해 보고 어느 정도 집중을 할 수 있을 때 타이머를 사용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타이머만 준다고 아이들이 바로 집중해서 책을 읽거나 숙제를 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집중력도 근육과 같아서 훈련을 하면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진다고 합니다. 위에 적은 두 가지 방법은 그전 단계로 아이들이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무엇을 할 수 있는 바탕을 만들어줍니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11208/110687327/1

 

“교실수업에 집중 못하는 아이, 함께 책 읽고 10분 이상 대화해보세요”

#서울 ○○초등학교 3학년 과학 시간. 아이들이 연필만 손에 쥐고 멀뚱멀뚱 앉아 있다. 연필이 멈춘 ‘실험 관찰’ 교과서에 ‘로봇의 생김새와 기능을 그림과 글로 나타내 봅시다’라…

www.donga.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