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이제 책도 읽고 발명이 어떤 것인지 어느 정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럼 준비가 다 끝난 거예요. 해보겠다는 의지만 있으면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발명을 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아래 두 가지만 있으면 됩니다. 이 두 가지는 아주 중요합니다.
차례대로 알아볼까요.
호기심
새롭고 신기한 것에 관심을 갖거나 잘 모르는 것을 알고 싶어 하는 마음을 호기심이라고 합니다. 호기심은 많은 발명의 시작이었습니다. 수많은 작가, 발명가, 과학자가 바로 이 호기심 덕분에 새로운 작품과 발명품, 과학기술을 탄생시킬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학교, 학원을 다니면서 매일 같은 일상을 반복하다보면 이런 호기심을 무시하게 됩니다. 우리 친구들도 어떤 것에 호기심을 가졌던 적이 분명 있을 거예요. 이제 그 호기심을 되살리면 됩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질문들이 바로 호기심입니다.
- 3D 프린터는 어떻게 입체적으로 표현하는거지?
-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스스로 만들까?
- 거울을 만드는 방법은 뭘까?
호기심을 위해서는 먼저 주변에 관심을 갖고 내가 읽는 책이나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에 궁금증을 가지면 됩니다.
몇 가지 호기심 이야기를 읽어보세요.
현미경을 발명한 호기심 이야기
https://www.korea.kr/news/visualNewsView.do?newsId=148826926
세상을 바꾸는 힘, 호기심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부 정책뉴스포털.
www.korea.kr
전자레인지
국내외 과학기술동향, 정책, 문화 등 과기계 이슈 정보 제공. 매주 금요일 뉴스레터 발송
국내외 과학기술동향, 정책, 문화 등 과기계 이슈 정보 제공. 매주 금요일 뉴스레터 발송
www.sciencetimes.co.kr
왜?
왜는 호기심과 함께 따라 다니는 친구입니다. 호기심이 시작되면 왜가 함께 다니기 시작합니다. 궁금해하는 호기심이 생기면 왜 그런지 알고 싶어 지니까요. 왜는 바로 질문입니다.
20세기를 대표할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가장 창의적인 과학자로 인정받는 아인슈타인은 원자와 우주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많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 시간이란 무엇일까?
- 중력은 어떻게 생겼는가?
- 빛보다 빠른 물질은 존재하는가?
아인슈타인은 이런 질문들을 하는 것에 많은 시간을 쏟았고 그 질문들로 인해서 인류의 문명이 많은 발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문제를 만드는 것 (질문하는 것)은 그것을 해결하는 것보다 중요하다" 라고 말하며 좋은 질문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호기심과 왜를 가지게 되면 창의적인 사람이 될 수 있고 발명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단순하게 머릿속에 떠올리기만 해서는 나중에 기억이 잘 나지 않습니다. 작은 수첩을 준비해두고 나만의 호기심 수첩을 만들어 궁금한 것들을 적어두고 시간이 날 때 궁금증을 해결해보세요. 어른들의 도움이 필요하면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여쭤보면 됩니다. 또 궁금해하는 것들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이건 이렇게 하면 되지 않을까?"라는 작은 아이디어들이 생기게 되고 그것이 바로 발명의 시작입니다. 우리 친구들도 오늘부터 호기심과 왜를 준비해 볼까요?
발명을 하면서 가지면 좋은 태도 몇 가지도 함께 소개합니다.
무엇인가 찾아서 메모하는 습관을 지닌다.
인간의 기억력은 그리 길지 못하다.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메모하는 것이다.
항상 의문점을 가진다.
주변의 여러 물건들이나 자연을 관찰할 때 한 가지 이상의 의문점을 가지고 그것을 해결해 보려는 자세를 가진다.
여러 가지 불편한 점에서 가장 불편한 점을 찾아본다.
한 제품의 불편한 점을 나열해 보고 가장 불편한 것은 무엇인지, 어디를 바꾸면 더 좋은지 바꿔보려는 자세를 가진다.
질문을 많이 한다.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노력만으로는 어려울 때가 많이 있다. 이런 경우, 친구나 선생님 또는 부모님께 자주 질문을 하여 답을 구하는 자세를 가진다.
독서를 많이 하자.
좋은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과학이나 다양한 분야에 관련된 책을 시간 나는 대로 읽는 습관을 지녀야 한다.
'Ready2Learn > 창의성, 발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명은 이렇게! 다양한 발명 기법 알아보기 (2) (0) | 2023.01.04 |
---|---|
발명은 이렇게! 다양한 발명 기법 알아보기 (1) (0) | 2022.12.21 |
발명을 시작하기 전에 읽으면 좋은 책 (0) | 2022.11.23 |
발명이란? (0) | 2022.11.18 |
초등학생 발명 대회 (0) | 2022.10.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