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주제글쓰기17

생각이 쑥쑥 글쓰기 (17) │ 이해할 수 없는 행동 아무리 친한 친구라도 모든 것을 다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내 생각에 이해하지 못할 행동이나 말들이 있다면 적어봅시다. 2023. 6. 16.
생각이 쑥쑥 글쓰기 (16) │ 봄 이제 6월이 되면서 날이 더워지고 있습니다. 어느덧 여름이 성큼 다가오는 중입니다. 이번 봄은 어떻게 보냈나요? 3월 개학하며 맞이했던 봄이 지나가고 있는 이때, 지나간 봄에 대한 느낌을 적어보세요. 2023. 6. 2.
생각이 쑥쑥 글쓰기 (15) │ 나의 성격은 누군가의 성격을 아는데 몇 가지 도움이 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살펴보면 됩니다.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에서 성격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방이 사용하는 말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평소에 자주 하는 말들, 어떤 일에 대한 의견들을 들어보면 됩니다. 성격은 복잡하기 때문에 쉽게 파악하기 힘들지만 행동이나 말을 관찰해 본다면 어느 정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은 나의 성격을 내가 생각해 보고 쓰는 것입니다. 2023. 5. 19.
생각이 쑥쑥 글쓰기 (14) │ 내가 느낀 감정들 오늘 하루 기분은 어땠나요? 뭔가 기분 좋은 일이 있었을 수도 있고 기분이 별로일 수도 있겠죠? 내가 느끼는 기분이나 감정이 내 안에서 생기는 것일 수도 있고 다른 사람에 의해 생기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번 주에 느꼈던 많은 감정 중에 기억이 남는 감정이 있나요? 나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2023. 4. 21.
생각이 쑥쑥 글쓰기 (13) │ 필요 없는 발명품 게임을 많이 한다고, Youtube를 오래 본다고 부모님께 혼난 경험이 있나요? 그럴 때 가끔 엉뚱하게도 휴대전화가 없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휴대전화가 없는 세상을 상상해 본 적이 있나요? 우리의 생활은 어떨까요? 이렇게 세상의 수많은 발명품 중의 하나가 사라진다면 우리 생활을 어떨지 상상해 봅시다. 2023. 4. 14.
생각이 쑥쑥 글쓰기 (12) │ 새로운 교과서! 교과서는 꼭 배워야 하는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끔 또는 자주 이 교과서가 재미없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걸 왜 배워야 하지?' '왜 이렇게 재미없는 거야.' '아 어렵다.' 이런 생각을 할 때가 있습니다. 만약 내가 교과서를 만든다면 어떤 교과서를 만들고 싶나요? 꼭 무엇인가 공부해야 하는 교과서가 아니라 우리에게 필요한 교과서를 떠올려보고 교과서를 만들어봅시다. 선생님은 교실에서 함께 노는 친구들을 보면 '친구와 즐겁게 노는 법'이라는 교과서를 만들어서 주고 싶습니다. 2023. 3. 17.
생각이 쑥쑥 글쓰기 (11) │ 냉동인간 미래는 어떻게 변해있을까요? 미래가 너무 궁금하지만 인간은 수명이 정해져 있어 미래에 살아볼 수는 없습니다. 타임머신을 타고 가지 않는다면 어떤 방법으로 미래를 살아 볼 수 있을까요? 지금으로서는 냉동인간이 가장 현실성 있어 보입니다. 냉동인간은 사람을 냉동 상태로 만들어 두고 나중에 깨우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냉동인간 기술을 연구하는 과학자들과 회사도 있다고 합니다. 계속 연구한다면 냉동인간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아래 기사를 읽어보고 생각이 쑥쑥 글쓰기를 적어봅시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83%89%EB%8F%99%EC%9D%B8%EA%B0%84-%EC%84%B1%EA%B3%B5-%EA%B0%80%EB%8A%A5%EC%84%B1%EC.. 2023. 3. 10.
생각이 쑥쑥 글쓰기 (10) │ 요술 램프 알라딘은 만화, 영화로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선생님뿐만 아니라 부모님도 어렸을 때 재미있게 보셨을 테고 우리 친구들도 재미있게 봤을 거예요. 알라딘에는 요술 램프에서 소원을 들어주는 지니가 나옵니다. 주인공인 알라딘이 소원을 비는 장면이 특히 재미있습니다. 이 장면을 보면 누구나 '아! 나도 저런 요술 램프가 있으면 좋을 텐데...'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친구들은 만약 저런 램프가 있다면 어떤 소원을 빌고 싶나요? 어떤 소원이든 좋습니다. 지금 빌고 싶은 소원이 있다면 글로 써보세요. 단, 그 소원을 왜 빌고 싶은지 이유도 함께 적어주세요. 그럼 마음에 귀를 기울여볼까요? 2023.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