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뉴스와 칼럼

6월 2주 - 교육 관련 뉴스, 칼럼 모음

by 옆반선생님 2024. 6. 13.

 

교실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며 아이들을 관찰해 보면 '마시멜로 실험'이 떠오릅니다. 순서가 될 때까지 참을성을 갖고 기다리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무엇을 하든 참을성이 없이 서두르거나 먼저 하려고 욕심을 부리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마시멜로 실험'과 훗날 성공 여부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론은 이미 알려진 사실입니다.

 

'참을성'은 나중에 아이가 자라 성공할 것인가와 같은 멀고도 먼 이야기보다는 자기 조절능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참을성이 부족한 아이들은 친구 관계에서도 배려하고 기다려주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그러다 보면 친구 관계도 원만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죠. 시간이 걸리는 활동도 견뎌내기 힘들어합니다. 결국 대충대충 완성해서 완성도가 떨어지는 과제를 제출합니다.

 

자기 조절능력은 가정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아이가 학교 생활을 해내가는데 있어서도 큰 역할을 합니다. 

 

 

미디어의 발달로 책 읽기를 멀리하고 생각해야 하는 글쓰기는 더더욱 싫어하게 된 현실에서 어떻게든 아이들이 글쓰기에 흥미를 갖게 하기 위해 교실에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부터 동아리 활동으로 'Blog로 글쓰기'를 하고 있습니다. 의외로 많은 아이들이 흥미로워하며 글쓰기를 가까이하기 시작했습니다.

 

예전에는 쓴 글을 다시 읽는 일이 없던 아이들조차 자신이 쓴 글을 다른 사람이 읽는다고 생각하며 쓰다보니 자연스럽게 '퇴고'를 하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문장을 제대로 쓴 게 맞는지 확인을 받으러 오는 학생들도 생겼습니다. 블로그에 쓰기 전에 먼저 손으로 글을 쓰게 하고 블로그에 올리면서 수정 과정을 거치게 지도하니 손으로만 쓸 때보다 흥미를 갖는 것 같습니다. 

 

 

 

https://www.seoul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79261

 

[교육칼럼] 인터넷 중독 자녀와 상호작용 훈련(2-2) - 서울일보

세대 간 놀이 문화와 함께 내 자녀가 속해 있는 세대의 문화와 놀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현재 자녀가 초등생이라고 하면 z 세대로 zoom er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디지털 네이티브

www.seoulilbo.com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40503/124783306/1

 

[횡설수설/우경임]세 살 조기교육 아홉 살까지만 간다

조기교육 나이가 얼마나 빨라졌는지 ‘4세 고시’를 보면 알 수 있다. 4세 고시는 유명 영어유치원 입학을 위한 레벨 테스트. 의대 입학이라는 종점을 향한 달리기가 이때부터 시작된…

www.donga.com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405272013015

 

[송용진의 수학 인문학 산책]수학공부와 작업기억

오랜 세월 동안 유럽에서는 수학교육을 언어교육과 함께 기초소양교육의 양대 기둥으로 삼아왔다. 왜 그렇게 수학을 중시하고, 왜 누구나 어려운 수학을 공부해야 할까. 학생들은 대...

www.khan.co.kr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4041518191390061

 

초등생 글쓰기 교육법… 띄어쓰기·글씨 지적보다 자기 생각대로 쓰게 하는 게 먼저

초등학생에게 글쓰기는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돼야 한다. 교육 전문가들은 자신의 생각을 글로 잘 나타내기 위해서는 독서와...

www.busan.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