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뉴스와 칼럼

11월 2주차 - 교육 관련 뉴스, 칼럼 모음

by 옆반선생님 2023. 11. 10.

 

11월 1주차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글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평소 창의성에 관심이 많고 학생들이 창의성을 키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활동이 글쓰기와 발명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 중 아래 내용에 많은 공감을 합니다. 

"창의성은 일종의 '습관'과 관련이 있습니다. 꾸준함입니다. 그리고 호기심을 느껴야 합니다. 저는 여전히 어떤 사건이 일어나면 그 배경에 호기심이 갑니다. 무언가를 질문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그리고 오랫동안 활동할 수 있었던 이유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살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일이 즐겁기도 했고요. 글쓰기는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지만 가장 즐거운 일 중 하나입니다."

 

아이들의 생각을 이끌어 낼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이 무엇일까 많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잦은 부부싸움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오은영의 부모마음 아이마음]

 

모짜르트와 베토벤의 아버지들, 그들의 교육 방식을 통해 얻는 교훈
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9180
 

[윤성희의 인문학 이야기] 모짜르트와 베토벤의 아버지들, 그들의 교육 방식을 통해 얻는 교훈 -

[한국강사신문 윤성희 칼럼니스트] 모짜르트와 베토벤을 모르는 사람들이 있을까? 바흐와 헨델만큼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중세 시대의 음악가들인데 말이다. 나도 음악인문학을 주제로 블로그

www.lecturernews.com

 

 

 

노벨상 작가 "창의성은 일종의 습관…꾸준히 글쓰고 질문해야"
 
 

노벨상 작가 "창의성은 일종의 습관…꾸준히 글쓰고 질문해야" | 연합뉴스

(샤르자=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월레 소잉카(89)가 처음부터 글을 잘 썼던 건 아니다. 누나를 따라다니며 놀아달라고 ...

www.yna.co.kr

 

 

AI 발달해도 문제 해결은 결국 인간의 몫…창의성이 핵심 역량

 

댓글